원예종 60

풍접초(風蝶草)(Cleome spinosa)-풍접초과

풍접초[風蝶草  ]요약 쌍떡잎식물 풍접초과 한해살이풀학명  Cleome spinosa영명  Spiny spiderflower   족두리꽃 또는 백화채,양각채라고도 한다. 아메리카, 아프리카 원산이며 1년생 초본으로 여름꽃이다.덩굴성으로 자라면 높이는 60~100cm 정도까지 자란다잎은 어긋나고 손바닥 모야 겹잎이며 작은 입은 5~7개이고 긴 타원형 바소꼴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꽃은 한국 여름철에 홍자색, 또는 보라색,흰색으로 다섯 개의 가느다란 꽃잎과 길게 삐져나온 꽃술이멀리서 보면 마치 꿀을 빨고 있는 나비를 보는 것 같아서 풍접초(風蝶草)라 부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24/07/21   정릉천변

주홍서나물(rassocephalum crepidioides (Benth.) S. Moore

주홍서나물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한해살이풀원산지학명과명꽃차례분포분류용도크기개화시기생활형꽃색깔아프리카Crassocephalum crepidioides (Benth.) S. Moore국화과(Compositae)아래를 향함전국국화과식용, 약용30~80cm7월~9월한해살이풀백색, 붉은색출처 : 국립중앙과학관 - 식물정보, 한국식물생태보감 1, 국립수목원: 귀화식물 쉽게 구별하기, 산나물 들나물 대백과,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 주홍서나물[분포] 한국(제주도, 남부) [특징] 1950 년대에 일본에도 귀화되었으며 국내에서는 1991년 전의식(全義植) 씨에 의하여 남해도, 제주도, 부산에서 채집되어 보고한 바 있다. [잎] 잎은 어긋나기(互生)terms.naver.com

수염틸란드시아(Tillandsia usneoides)ㅡ파인애풀과

스패니시모스 '수염 틸란드시아 [ Spanish moss음성듣기 ] 요약 외떡잎식물 분질배유목 파인애플과의 여러해살이풀. 수염틸란드시아라고도 하며, 나무에 착생하여 생활한다. 길이 약 5m이다. 뿌리는 퇴화하였고 가는 줄기가 드문드문 갈래로 갈라져 늘어진다. 잎은 줄 모양이고 길이 3∼5cm이다. 겉면은 칙칙한 은백색의 비늘털로 덮이는데, 이 털은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는 구실을 한다. 꽃이삭은 줄기 끝에 달리며 바소꼴의 포에 싸여 1개의 꽃이 된다. 꽃받침조각은 3개이고 꽃잎은 작으며 끝이 보랏빛이다. 열매는 삭과로서 길이 약 1.5cm이고 줄 모양이며 단면이 3각형이다. 종자에는 관모가 있어 바람이 불면 흩어진다. 뿌리는 붙어 있는 역할만 할 뿐, 완전한 기생(氣生) 식물이다. 말린 식물체는 탄력성..

꽃사과나무(Malus prunifolia)ㅡ장미과

꽃사과 [ crab apple음성듣기 ] 요약 장미과(Rosaceae) 사과나무속(Malus)에 속하는 몇몇 소교목류의 열매 '산사'라고도 한다. 아시아와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이며 흔히 심는 사과나무보다는 딱딱하고 훨씬 작으며 가시도 더 많다. 맛은 시큼하지만 색깔이 선명하고 적당한 단맛도 가지고 있어 젤리, 통조림, 사과차(산사자차), 사과주(산사자주)로 만들어 먹었으며, 한방에서는 생약을 위장약 등으로 이용하였다. 꽃사과는 과당, 포도당, 주석산, 비타민 C가 풍부하여 건강유지, 피로회복, 변비 등에 좋다. 꽃사과 열매 말린 것은 한방에서 건위와 소화불량, 식욕부진, 위산결핍증 또는 위산과다증에 사용하며, 설사와 생리통, 동상, 건위, 요통, 장출혈 등에 약으로 쓴다. 민간에서는 육류를 요리할 때 고기..

페츄니아(Petunia hybrida)ㅡ가지과

페튜니아 (페츄니아) 학 명Petunia hybrida영문명Common Garden Petunia과가지과원산지아르헨티나꽃말당신과 있으면 마음이 편해짐 남아메리카가 원산지이며 다양한 변종들이 있고 보통 직립성 종은 15~25cm 정도로 화단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긴 줄기를 가진 포복종은 40cm정도로 자라는데 걸어두는 화분용으로 많이 사용돤다 분홍과 흰색등 다양한 색상의 꽃들이 있고 홑겁, 겹꽃도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겨울에 노지 월동을 하지 못해 한해살이로 취급하지만 실내 월동이 가능한 식물입니다 페튜니아는 개화기간이 길어 초여름부터 서리 내리기 전까지 꽃이피고 비교적 건도에도 잘 견딥니다 그늘애서는 잘 자라지 못합니다 2022/10/01 하늘공원 가는길

꽃양배추(Cauliflower)ㅡ겨자과

꽃양배추cauliflower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겨자과의 한두해살이풀 유럽 원산의 관상용 양배추. 가을~겨울에 잎은 황~적색의 물이 들어 이를 관상함. 꽃양배추의 생리생태 관상용 꽃양배추(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는 채소의 꽃양배추(영명 : broccoli 또는 cauliflower)와 비슷한 것으로 이것의 영명은 ornamental kale 또는 ornamental cabbage라고도 한다. 전자는 잎 모양이 축면계통을, 후자는 환엽계 품종을 말하기도 하며 모두 식용이 가능하다. 원산지는 북유럽이고 초여름에 파종하는 일년초로서 배추과(Cruciferae)에 속하며 평분(平盆)에 모아심기 하는 재료로 사용하는 외에 비교적 화단용 소재가 적은 가을부터 초겨울까지 화단식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