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해살이풀 682

풍도바람꽃( Eranthis pungoensis B.U. Oh)-미나리아재비과

풍도바람꽃미나리아재비과 너도바람꽃속의 여러해살이풀학명  Eranthis pungoensis B.U. Oh 미나리아재비과  너도바람꽃속 풍도바라미꽃은경기도 안산시 풍도에 자생하는 변산바람꽃의 한종으로꽃잎처럼 보이는 꽃밭침의 색갈이 흰색등 다양해서 변산바람꽃과 다른점이 많고 풍도에서 만 자생한다. 봄의 전령사로 퇴화된 꽃잎대신 꽃밭침을 꽃잎처럼 보이게 하여 수정을 하는데도움을 주는 곤충들을 불러 들여 한세상을 살아간다. 변산바람꽃과 다른점은꽃받침이 크고 넓으며, 꿀샘의 색갈은 변산바람꽃은 황록색, 풍도바람꽃은 연노란색이며깔때기 모양의 꽃잎은 변산바람꽃은 U자형 모양인 반면, 풍도바람꽃은 V자형 모양이다. 2011년 1월 27 국가표준식물 목록에 특산종으로 기재되었다. 개요산지 아래 숲 그늘이나 개활지의 햇빛..

풍도의노루귀(Hepatica asiatica)-미나리아재비과

노루귀요약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학명  Hepatica asiatica 이른봄에서 4월까지 흰색 또는 연한 붉은색 꽃이 피는데 잎보다 먼저 긴 꽃대 위에 1개씩 붙는다. 꽃 지름은 약 1.5cm이다. 총포는 3개로 녹색이고 흰 털이 빽빽이 난다. 꽃잎은 없고 꽃잎 모양의 꽃받침이 6∼8개 있다. 꽃받침은 대부분 연한 자줏빛이며 수술과 암술이 여러 개 있다. 열매는 수과로서 털이 나며 6월에 총포에 싸여 익는다.산지나 들판의 경사진 양지에서 자라는데 큰 나무들이 잎이 무성해지기 전에 꽃을 피운다. 뿌리줄기가 비스듬히 자라고 마디가 많으며 검은색의 잔뿌리가 사방으로 퍼져나간다. 잎은 뿌리에서 뭉쳐나고 긴 잎자루가 있으며 3개로 갈라진다. 갈라진 잎은 달걀 모양이고 끝이 뭉뚝하..

개감수(Euphorbia sieboldiana C. Morren & Decne. )-대극과

개감수대극과 대극속의 여러해살이풀학명 Euphorbia sieboldiana C. Morren & Decne.  줄기는 20~40cm 높이로 즐기는 가늘고 둥글며 곹개 선다.잎은 줄기에 어긋나고 잎자루가 없으며 긴 타원형이며 잎 끝이 뭉특하고 톱니가 없다줄기 끝에 5개의 긴 타원형 잎이 돌려난다총포는 세모난 달걀 모양이고 꽃대는 우산모양으로 5개 나며 작은 꽃대는 2개로 갈라진다꽃은 6~7월에 녹색을 띤 황색 꽃이 즐기 끝에 핀다1개의 암술로 된 1개의 암꽃과 1개의 수술로 된 수꽃이 있다암술대는 길고 끝이 2개로 갈라진다 ○ 국명의 유래 "개 + 감수",   개감수라는 이름은 한자명 감수(甘遂)와 생김새가 닮았으나 약재로 사용하지 못해 쓸모가 덜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전국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땅..

대극(Euphorbia pekinensis)-대극과

대극[ 大戟 ]요약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쥐손이풀목 대극과의 여러해살이풀.학명  Euphorbia pekinensis  산과 들에서 자란다. 뿌리줄기는 비대하고, 줄기는 곧게 서며 흔히 밑부분에서 가지를 치고 가는 털이 있다. 높이 80cm 정도이고, 자르면 흰 유액이 나온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는 없으며 타원형의 바소꼴로 끝은 뭉뚝하거나 뾰족하고 밑은 뾰족하다. 잎 뒷면에는 짧은 털이 나고 백록색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원줄기 윗부분에서는 5개의 잎이 돌려나고, 총포잎[總苞葉]은 넓은 달걀 모양 또는 삼각꼴의 원형으로 길이 5∼12mm이다.6월경에 황록색 꽃이 배상꽃차례[杯狀花序]를 이루고, 1개의 수술로 된 몇 개의 수꽃과 1개의 암술로 된 1개의 암꽃이 작은 총포 안에 들어 있다. 열매는 삭과..

두메대극(Euphorbfaurieiia )-대극과

두메대극요약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대극과의 여러해살이풀.학명 Euphorbfaurieiia   줄기는 뭉쳐나고 매우 작아서 높이 10∼15cm이며, 때때로 가지를 치고 가는 털이 난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모양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길이 5∼20mm, 나비 3∼10mm 잎자루가 짧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줄기 끝에 3∼4개의 잎이 돌려나고 가지가 우산 모양으로 갈라진다. 6∼7월에 황록색 꽃이 피며 포와 작은 총포(總苞)가 있다.포는 4∼5개가 돌려붙고 달걀모양 또는 타원형이며 길이 7∼15mm, 나비 4∼9mm이고 3∼5개의 꽃대가 우산 모양으로 갈라진다. 작은총포는 합생(合生)하여 단지처럼 되고 그 속에 1개의 수술로 된 몇 개의 수꽃과 1개의 암술로 된 1개의 암꽃이 있으며, 4개의 포(苞..

흰대극(Euphorbia esula L.)

흰대극대극과의 여러해살이풀학명  Euphorbia esula L. 우리 나라 각처의 해안이나 들에 나는 다년초, 키 20~40cm, 자르면 유액이 나옴, 전체에 털이 없음, 분백색, 줄기 밑에는 밀생, 잎호생, 약간 밀생, 피침형, 주걱모양, 끝이 둔하거나 둥근 모양, 길이 2~3cm, 가장자리는 밋밋, 짧은 가지에는 화서가 달리지 않고 밀생, 줄기 끝의 잎은 5장이 유생, 다른 잎보다 크고, 도란상 피침형. 꽃개화기 6~7월, 노란색, 화서는 5개가 산형으로 2개씩 2회 갈라져 끝에 꽃이 달림, 총포는 노란색, 신장형, 열매삭과, 거의 둥근 모양, 털이 없고 밋밋, 3개로 갈라짐 분포지역한국(전도), 일본, 중국, 만주, 몽고, 아무르, 시베리아, 유럽                            ..

붉은대극(구풍도대극)(Euphorbia ebracteolata Hayata)-대극과

붉은대극(구풍도대극)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대극과의 여러해살이풀학명  Euphorbia ebracteolata Hayata구학명 Euphorbia ebracteolata var. coreana 풍도대극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대극과의 여러해살이풀. 풍도에서 발견되었고, 붉은대극 종류라는 뜻의 이름이다. 여러해살이풀이며, 높이는 40~50㎝이다. 굵은 뿌리줄기가 있는데, 절단하면 형광빛의terms.naver.com

붉은대극(Euphorbia ebracteolata)-대극과

붉은대극[ Red spurge ]요약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대극과의 여러해살이풀.학명  Euphorbia ebracteolata   새순이 붉은색이고 대극 종류라는 뜻의 이름이다. 열매 표면에 돌기가 없어 매끈하다고 해서 ‘민대극’이라고도 한다. 여러해살이풀이며, 높이는 40~60㎝이다. 땅 속에 인삼처럼 생긴 굵직한 뿌리줄기가 있고, 자르면 형광색이 도는 황록색 액이 나온다.잎은 어긋나기하고 긴 타원형이며, 털이 있거나 없고 가장자리는 밋밋한 편이다. 길이는 3~10㎝, 폭은 1~2㎝이다. 새순은 붉은색으로 돋는다.꽃은 3~4월에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녹색으로 피며, 암수한포기이고, 배상꽃차례를 이룬다. 총포엽은 대개 2개이고 드물게 3개이다. 꽃잎은 없다. 꿀샘덩이는 4개이고 콩팥 모양이며, 녹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