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예종 60

과꽃(Callistephus chinensis (L.) Nees)ㅡ국화과

과꽃 학명생물학적 분류 Callistephus chinensis (L.) Nees 문 : 현화식물문(Magnoliophyta) 강 : 목련강(Magnoliopsida) 목 : 국화목(Asterales) 과 : 국화과(Asteraceae) 속 : 과꽃속(Callistephus) 다른 학명 Aster chinensis L.2) 북부지방의 산기슭, 골짜기, 길가에 자라는 한해살이풀로서 전국에서 심어 기른다. 줄기는 곧추서며, 위쪽에서 가지가 조금 갈라지기도 하고, 높이 30-100cm다. 줄기 겉에 흰 털이 나며, 보통 자줏빛이 돈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위로 갈수록 짧다. 꽃은 7-9월에 줄기와 가지 끝에서 머리모양꽃이 1개씩 달린다. 머리모양꽃은 가장자리에 혀모양꽃이 ..

털뻐꾹나리(Tricyritis hirita 'Miyanzaki')ㅡ백합과

백합과 뻐꾹나리속 일본에서 개발된 원예종으로 9~10월에 꽃이핀다 일본 중부와 남부의 그늘진 바위 절벽과 개울제방에서 자란다 잎은 크고 넓으며 즐기를 감싸고 있고 꽃은 짙은 자주색 반점이 있는 흰색에서 옅은 자주색이다 일반적으로 '두꺼비 백합'이라고 불린다 작은 백합모야의 꽃(길이 1인치 정도)이 특징이다 꽃은 위쪽 잎겨드랑이에 피며 즐기 끝에서 단독으로 또는 각각 2~3개의 꽃이 작은 송이모양이(cymes)로 핀다 식물의 모든 부분에 털이 있기 때문에 '털두꺼비 백합' 이라고도 한다

삼색제비꽃(Viola tricolor L.)ㅡ제비꽃과

삼색제비꽃 현화식물문 목련강 제비꽃목 제비꽃과 제비꽃속의 두해해살이풀 학명 Viola tricolor L. 유럽 원산으로 관상용으로 식재하는 두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높이 12-25cm, 가지가 갈라지며 능선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난상 장타원형 또는 피침형, 끝은 둔하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밑은 잎자루로 이어져 좁은 날개로 된다. 턱잎은 잎자루보다 길고 깃꼴로 깊게 갈라진다. 꽃은 4-5월에 자주색, 흰색 또는 노란색으로 피며,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긴 꽃줄기에 1개씩 옆을 향하여 달린다. 열매는 삭과다.1) 삼색제비꽃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 2022/06/08 강원 강원도 산골 작은 주택앞에 예쁘게 피어 있는 모습이 정겹고 아름다워 길을 멈추고 담아봤습니다.

이베리스(눈꽃)(Iberis)ㅡ겨자과

이베리스 [ candytuft} 요약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겨자과의 한 속. 학명 Iberis 서양말냉이류라고도 한다. 대개 지중해 원산으로서 남유럽, 서부 아시아, 북아프리카에 30종 안팎이 자라고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한해살이풀인 서양말냉이(I. amara)는 높이 약 20cm이다. 잎이 혁질(革質:가죽 같은 질감)이고 갈라진다. 꽃은 4∼5월에 흰색이나 분홍색으로 피고 향기가 난다. 들판에서 자란다. 셈페르비렌스(I. sempervirens)는 상록 여러해살이풀로서 높이 15∼20cm이다. 흰색 꽃이 가지 끝에 총상꽃차례로 달리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움벨라타(I. umbellata)는 한해살이풀로서 높이 약 40cm이다. 가지를 많이 치며 잎은 길고 가늘다. 꽃은 4∼5월에 십자 모양으로 피고 꽃차례..

설강화(雪降花)ㅡ수선화과

갈란투스 니발리스(Galanthus nivalis)는 가장 잘 알려져 있고 널리 보급되어 있는 설강화속의 대표종이다. 유럽의 광대한 지역이 원산지로, 서부 피레네 산맥에서 프랑스와 독일을 거쳐 북쪽의 폴란드, 이탈리아, 북부 그리스까지 펼쳐져있다. 영국에 분포하는 것은 로마인들이 아마 16세기 초에 들여온 것이며, 다른 지역으로 널리 귀화되었다. 다른 설강화속 종들은 동부 지중해 연안에서 온 것이나 일부는 러시아 남부 및 조지아와 아제르바이잔에서도 발견된다. 갈란투스 포스테리(Galanthus fosteri)는 요르단, 레바논, 시리아, 터키 등이 원산이다.[1] 설강화속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설강화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텔레비전 드라마에 대해서는 설강화 : snowdrop 문서를 참고하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