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51

주름잎 20210420 서울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현삼과의 한해살이풀. 학명 Mazus pumilus 주름잎은 밭이나 습한 곳에서 자란다. 높이 5∼20cm이고 전체에 털이 있다. 밑에서 여러 대로 갈라진다. 잎은 마주달리고 위로 가면서 어긋나며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 또는 긴 타원상 주걱형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옆면에 주름이 진다. 꽃은 5∼8월에 피고 총상꽃차례로 달리며 연한 자주색이다. 화관은 통 모양이며 2개로 갈라진 다음 하순(下脣) 꽃잎은 다시 3개로 갈라지고 중앙갈래조각에 있는 2개의 줄은 황색이다. 4개의 수술 중 2개는 길고 열매는 삭과(蒴果)로 둥글며 꽃받침으로 싸여 있다.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한국·일본·중국·만주·시베리아·인도 북부·아프가니스탄·자바등지에 분포한다. 주름잎 (두산백과)

흰꽃광대나물 20210425 서울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Marrubium incisum 층꽃나물이라고도 한다. 들이나 밭 근처에서 자란다. 높이 20∼50cm이다. 뿌리는 곧으며 줄기는 네모진다. 뿌리에서부터 가지를 많이 내어 비스듬하게 서며 아래로 굽은 털이 빽빽이 난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거나 바소 모양이며 손바닥 모양으로서 3∼5갈래로 갈라진다. 갈래조각은 긴 타원 모양이고 1∼2개의 톱니가 있으며 길이 약 2cm, 나비 5∼10mm이다. 겉면은 짙은 녹색, 뒷면은 잿빛을 띤 녹색이고 선점(腺點)과 굽은 털이 촘촘하게 난다. 꽃은 6∼7월에 흰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 모여 층을 이루어 달린다. 포는 줄 모양이다. 꽃받침은 통 모양으로서 5갈래로 갈라지는데, 갈래조각은 바늘 모양의..

별꽃 20210404 서울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중심자목 석죽과의 두해살이풀. 학명 Stellaria media 밭이나 길가에서 자란다. 전체적으로 연한 녹색으로 높이 20cm 내외이고 밑에서 가지가 많이 나오며, 줄기에 1줄의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이며 길이 1~2cm, 나비 8~15mm이다. 밑부분 잎은 잎자루가 길고 윗부분 잎은 잎자루가 없으며, 양면에 털이 없다.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으나 때로 물결 모양으로 되기도 한다. 꽃은 5~6월에 피고 흰색이며 취산꽃차례를 이룬다. 포(苞)는 작고 잎같으며 가늘고 긴 꽃자루는 한쪽에 털이 있다. 꽃받침은 5개이고 달걀 모양의 긴 타원형으로 다소 끝이 뭉뚝하며 길이 4mm 내외이고 녹색으로 외면에 선모(腺毛)가 빽백이 나있다. 꽃잎도 5개이고 2개로 깊게 갈라진다. 수술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