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해살이풀 39

큰잎쓴풀(Swertia wilfordi)ㅡ용담과

큰잎쓴풀 요약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용담목 용담과의 두해살이풀이다. 학명 Swertia wilfordi 높이는 30cm 정도이다. 줄기는 곧게 서며 가지가 여러개로 갈라진다. 잎은 마주나며 잎자루는 없다. 8~9월에 원추(圓錐) 모양의 취산(聚) 꽃차례로 자줏빛 꽃이 핀다. 열매는 삭과(果)를 맺는다. 백두산에 분포한다. 큰잎쓴풀 (두산백과)

꽃다지(Draba nemorosa)ㅡ십자화과

꽃다지 요약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십자화과의 두해살이풀. 학명 Draba nemorosa 들이나 밭의 양지바른 곳에서 자란다. 높이 약 20cm이다. 풀 전체에 짧은 털이 빽빽이 나고 줄기는 곧게 서며 흔히 가지를 친다. 뿌리에 달린 잎은 뭉쳐나서 방석처럼 퍼지는데, 생김새는 주걱 모양의 긴 타원형이다.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길이 1∼3cm, 나비 8∼15mm이다. 4∼6월에 노란색 꽃이 줄기 끝에 총상꽃차례를 이루어 핀다. 꽃받침은 4장이고 타원형이다. 꽃잎은 꽃받침보다 길며 주걱 모양이고 길이 3mm 정도이다. 6개의 수술 중 4개는 길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각과로 긴 타원형이고 전체에 털이 나며 7∼8월에 익는다. 길이 5∼8mm, 나비 약 2mm이다..

구름체꽃(Scabiosa mansenensis for. alpina Nakai )ㅡ산토끼과

쌍떡잎식물 꼭두서니목 산토끼꽃과의 두해살이풀. 학명 Scabiosa mansenensis for. alpina Nakai 해발고도 1,400m 이상의 깊은 산에서 자란다. 높이 20cm 정도이며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가 갈라지지 않는다. 줄기에는 털이 있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바소꼴로 잎자루가 길며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다. 줄기에서 나온 잎은 긴 타원형 또는 달걀 모양 타원형이며 마주난다. 깃꼴로 갈라지며 잎가장자리에 깊게 패어 들어간 큰 톱니가 있다. 잎자루에 날개가 있으며 밑부분이 넓어져서 원줄기를 감싼다. 잎자루와 잎 표면에 흰색 털이 빽빽이 난다. 꽃은 7~8월에 하늘색으로 피며 가지와 줄기 끝에 두상꽃차례로 달린다. 가장자리의 꽃은 털이 빽빽하고 화관이 5개로 갈라지며 바깥갈래조각이 가장 ..

속속이풀 20210703 용인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겨자과의 두해살이풀. 학명 Rorippa palustris 낮은 지대의 습기가 있는 곳에서 자란다. 높이 30∼60cm로 잎은 어긋나고 바소꼴이며 가장자리가 깃처럼 갈라지기도 하고 잎자루가 없다. 꽃은 5∼6월에 피고 황색이며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꽃잎과 꽃받침조각은 4개씩이고 6개의 수술 중 4개는 길며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각과로 긴 타원형이며 길이 4∼6 mm이다. 소과경(小果梗)은 열매의 길이와 거의 비슷하며 끝에 암술대가 남아 있다.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온대에서 난대에 걸쳐 널리 분포한다.

구슬붕이 20210606 평창

쌍떡잎식물 용담목 용담과의 두해살이풀. 학명 Gentiana squarrosa 인엽용담(鱗葉龍膽)·암용담·자화지정·구슬봉이라고도 한다. 양지바른 들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 5∼10cm로 밑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에서 난 잎은 큰 달걀 모양 마름모꼴이고, 장미꽃 모양으로 난다. 길이 1∼4cm, 나비 5∼12mm로 가장자리가 두껍고 끝이 까끄라기처럼 뾰족하다. 줄기에서 난 잎은 마주나고 작으며 밑부분이 합쳐져 잎집을 이루며 줄기를 싸고 있다. 5∼6월에 종 모양의 연한 자주색 꽃이 줄기 끝에 핀다. 꽃자루는 짧고 꽃받침통은 길이 4∼6mm이다. 화관통은 꽃받침보다 2배 정도 길다. 열매는 삭과로 긴 대가 있고 화관 밖으로 나오며 가을에 익는다. 종자는 방추형으로 편평하고 매끄럽다. 한국·일본·동아시아..

두메양귀비 20210506 양구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양귀비과의 두해살이풀. 학명 Papaver radicatum var. pseudoradicatum 조선앵속·산양귀비·두메아편꽃라고도 한다. 높은 산의 중턱 이상에서 자란다. 높이 5∼10cm이다. 전체에 퍼진 털이 있으며 뿌리가 땅속으로 30cm 정도 곧게 들어가고 지름 1cm 정도이다. 잎은 뿌리에서 뭉쳐나고 다소 긴 잎자루를 가지며 달걀 모양 타원형으로 1∼2회 깃꼴로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은 달걀 모양 타원형 또는 바소꼴이고 끝은 뾰족하고 가끔 갈라지지 않은 잎이 함께 있다. 꽃줄기는 외가닥 또는 2∼3가닥으로 곧게 또는 비스듬히 나고 높이는 5∼10cm이다. 7∼8월에 노란빛을 띤 녹색 꽃이 꽃줄기 끝에 1송이 핀다. 꽃받침조각은 2개인데, 타원형 배[舟] 모양이고 꽃잎은 4개..

별꽃 20210404 서울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중심자목 석죽과의 두해살이풀. 학명 Stellaria media 밭이나 길가에서 자란다. 전체적으로 연한 녹색으로 높이 20cm 내외이고 밑에서 가지가 많이 나오며, 줄기에 1줄의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이며 길이 1~2cm, 나비 8~15mm이다. 밑부분 잎은 잎자루가 길고 윗부분 잎은 잎자루가 없으며, 양면에 털이 없다.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으나 때로 물결 모양으로 되기도 한다. 꽃은 5~6월에 피고 흰색이며 취산꽃차례를 이룬다. 포(苞)는 작고 잎같으며 가늘고 긴 꽃자루는 한쪽에 털이 있다. 꽃받침은 5개이고 달걀 모양의 긴 타원형으로 다소 끝이 뭉뚝하며 길이 4mm 내외이고 녹색으로 외면에 선모(腺毛)가 빽백이 나있다. 꽃잎도 5개이고 2개로 깊게 갈라진다. 수술은..

흰그늘용담 20110612 제주 한라산

용담과의 두해살이풀 높은 산의 약간 습한 곳에서 자란다. 높이는 5~7cm정도이고, 줄기는 밑에서 모여나와 갈라지며 비스듬히 자란다. 잎은 달걀모양으로 마주나고 가장자리가 흰색이다. 5~7월 하순에 개화하며, 구슬붕이와 닮았으나 꽃이 희고 식물체에 잔돌기가 있어 약간 까칠거리는 느낌이 있고 습한 고산지대에 자라는 점이 다르다. 한라산 1,500m 이상에서 자생한다 참고 " 오늘 무슨 꽃 보러갈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