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7/01 4

종덩굴(Clematis fusca var. violacea)ㅡ미나리아재비과

씽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과 클레매티스속의 덩굴성 낙엽활엽 목본 학명 Clematis fusca var. violacea 덩굴져 자라는 줄기는 갈색으로 어린가지에는 털이 있다. 덩굴손이 나와 다른 물체를 감고 자란다. 마주달리는 잎은 우상복엽으로 5~7개의 작은잎으로 이루어진다. 작은잎은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으로 양면에 털이 없거나 뒷면에 약간의 털이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몸이 2~4개로 얕게 갈라지기도 한다. 7~8월에 잎겨드랑이에서 자주색의 종 모양의 꽃이 아래를 향해 핀다. 꽃부리는 끝이 4개로 갈라져 뒤로 젖혀지고 표면이 매끄럽다. 열매는 수과로 암술대가 달려있다. 우리나라 중부 이북의 산지 그늘진 곳에서 자라는 덩굴성 낙엽활엽 목본으로 중국, 우수리, 아무르 등지에도 분포한다. 종덩굴 (국..

좁쌀풀(Lysimachia vulgaris var. davurica)ㅡ앵초과

좁쌀풀 요약 쌍떡잎식물 앵초목 앵초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Lysimachia vulgaris var. davurica 햇볕이 잘 드는 습지에서 자란다.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으면서 자라고 원줄기는 높이 40∼80cm로서 윗부분에서 가지가 다소 갈라진다. 잎은 마주달리거나 3∼4개씩 돌려나고 바소꼴 또는 달걀 모양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검은 점이 있다. 꽃은 6∼8월에 피고 황색이며 원추꽃차례에 달린다. 꽃이삭에 잔 선모(腺毛)가 있다. 꽃받침조각·꽃잎 및 수술은 5개씩이고 수술대는 밑부분이 서로 붙는다. 열매는 8∼9월에 결실하며 삭과로 둥글고 꽃받침이 남아 있다. 어린 순은 식용한다. 한국·일본과 동아시아에 주로 분포한다. 좁쌀풀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남한산성의 청닭의난초(Epipactis papillosa)ㅡ난초과

청닭의난초 [ 靑─蘭草 ] 요약 외떡잎식물 미종자목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Epipactis papillosa 푸른닭의난초라고도 한다. 산지 숲속에서 자란다. 높이 30∼70cm이다. 뿌리줄기가 짧고 포기 전체에 갈색의 짧은 털이 난다. 잎은 5∼7장으로서 어긋나고 넓은 타원 모양이며 길이 7∼12cm, 나비 2∼4cm이다.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와 맥 위에 털 모양의 돌기가 있다. 밑동에는 칼집처럼 생긴 잎이 달린다. 꽃은 7∼8월에 녹색으로 피는데, 20∼30개가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포는 잎 모양이며 꽃보다 길다. 꽃받침은 긴 달걀 모양이며 길이 약 1cm이고 끝이 뾰족하고 반쯤 벌어진다. 꽃잎은 달걀 모양이며 약간 짧다. 입술꽃잎은 꽃잎과 길이가 거의 같은데, 아랫입술꽃잎은 안쪽이 갈색이고 ..

란(蘭). 난초 2023.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