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4/23 8

피뿌리풀(Stellera chamaejasme)ㅡ팥꽃나무과

피뿌리풀 요약 쌍떡잎식물 도금양목 팥꽃나무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Stellera chamaejasme 들판의 풀밭에서 자란다. 높이 30~40cm. 줄기는 뭉쳐난다. 잎은 다닥다닥 붙어서 어긋나며 길이 15~27mm의 바소꼴이다.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표면은 녹색, 뒷면은 푸른빛이 도는 회색이다. 양면 모두 털이 없고 잎자루는 아주 짧다. 꽃은 5~7월에 붉은색으로 피며, 원줄기 끝에 15~22개가 모여 달린다. 꽃받침은 분홍색이며 위쪽이 5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10개인데 꽃받침통에 2줄로 붙어 있다. 열매는 타원형의 수과(瘦果)로 꽃받침에 싸여 있다. 뿌리는 더덕처럼 굵고 독성이 있으며 선홍색을 띤다. 뿌리의 색이 핏빛 같다 하여 피뿌리풀이라 한다. 한국(제주도 한라산, 황해도 이북)·중국·만주·몽고·..

미국산딸나무(꽃산딸나무 )(Cornus florida)ㅡ층층나무과

꽃산딸나무 (미국산딸나무, 서양산딸나무 [ flowering dogwood ] 요약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층층나무과의 낙엽 소교목. 학명 Cornus florida 꽃산띨나무는 예수가 못 박힌 십자가의 나무로 선택되어 매우 고통스러워 했던 나무라는 이야기가 있는 데다가 총포조각이 십자가 모양으로 배열되기 때문에 기독교에서 매우 신성시한다고 한다.

흰대극(Euphorbia esula L.)ㅡ대극과

2023/04/23 예산 흰대극 쌍자엽식물 대극과 대극속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Euphorbia esula L. 특징 매우 유독성 식물이다. 노란색에 가까운 연두색 꽃은 개화가 1개월이상 지속된다. 잎 잎은 어긋나기하지만 약간 밀생하며 거꿀피침모양 또는 주걱모양이고 원두, 둔두 또는 요두이며 길이 2~3cm, 폭 3~5mm로서 털이 없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짧은 가지에서는 꽃차례가 달리지 않는 포기의 윗부분에서 처럼 밀생하고 화서 밑의 잎은 5개가 돌려나기하며 도란상 피침형이다. 꽃 꽃은 6~7월에 피고 황색이며 꽃차례는 산형이고 5개가 나와 2개씩 2번 갈라져서 끝에 꽃이 달린다. 총포조각은 황색이며 길이 5~10mm, 폭 7~15mm로서 심장형 또는 콩팥모양이고 술잔 같은 꽃차례에 들어 있는 4개의 ..

넓은잎각시붓꽃(Iris rossii var. latifolia J.K.Sim & Y.S.Kim)ㅡ붓꽃과

넓은잎각시붓꽃 단자엽식물 백합목 붓꽃과 붓꽃속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Iris rossii var. latifolia J.K.Sim & Y.S.Kim 분포 한국(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의 북부) 특징 잎의 상반부가 넓기 때문에 "넓은잎각시붓꽃"이란 국명을 붙여서 신변종으로 다루었다. 충청남도 공주 수원동에서 처음 채집되었다. 잎 잎의 형태가 상반부는 길고 넓으며 주맥은 없으나 표면과 이면에 3개의 뚜렷한 가는맥이 있고 하반부는 갑자기 좁아져서 둥근 모양의 초상을 만든다. [네이버 지식백과] 넓은잎각시붓꽃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 2023/04/23 천안

조개나물(Ajuga multiflora)ㅡ꿀풀과

조개나물 요약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Ajuga multiflora 양지바른 야트막한 산이나 들에서 자란다. 높이 약 30cm. 줄기는 곧게 서고 백색의 긴 털이 빽빽히 나 있다. 잎은 마주나며 줄기잎은 길이 5cm 정도의 달걀 모양이다. 잎자루가 없고,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뿌리잎은 길이 15cm 정도이며 잎자루가 길고 바소꼴이다. 꽃은 5~6월에 자주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꽃부리는 긴 통처럼 생긴 입술 모양이며 위쪽에 1개, 양옆에 2개, 아래쪽에 1개로 갈라지는데 아래쪽의 것이 가장 넓고 크다. 수술은 4개이나 그 중 2개가 길어 꽃통 위에 달린다. 열매는 둥글납작한 모양의 분과(分果)로 4개로 나뉜다. 8월에 익으며 그물맥이 있고..

솔붓꽃(Iris ruthenica Ker Gawl. var. nana Maxim.)ㅡ붓꽃과

솔붓꽃 흰 물결무늬의 보라색 꽃을 피우는 키 작은 붓꽃 [ Beardless iris ] 요약 붓꽃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북방계 식물이지만 국내에서는 무덤가나 마을 주변 등 저지대의 양지바른 곳에 잘 자란다. 과거 전국에 분포했으나 개발로 사라졌고 현재 경기(강화) · 충남(대전) · 경북(대구) · 부산 · 전남 해안 등 일부 지역에 적은 수가 남았다. 옛날에 뿌리로 솔을 만들어 솔붓꽃으로 불린다. 키는 8~13cm이며 꽃줄기에 꽃이 1개 달린다. 푸른빛의 연보라색 꽃이 4~5월에 피며 외화피조각에 흰색 그물무늬가 있다. 암술대가 꽃잎처럼 생겼다. [네이버 지식백과] 솔붓꽃 [Beardless iris] - 흰 물결무늬의 보라색 꽃을 피우는 키 작은 붓꽃 (한국의 멸종위기 야생생물, 이웅빈, 이주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