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경궁 15

솔이끼(Polytrichum communeHedw.)-솔이끼과

선태식물 솔이끼과에 속하는 이끼이다학명  Polytrichum communeHedw. 그늘지고 습한 산지나 늪, 또는 햇빛이 드는 점토질 토양에서 잘 자라는 이끼로서 높이는 3-10cm이며 곧게 선 줄기를 가진다. 잎은 바소꼴이며 길이는 4-9㎜이다. 마르면 완만하게 줄기에 접착하여 전체 형태는 가늘고 길게 보인다. 잎가장자리는 안쪽으로 겹쳐 포갠 것처럼 되며 표면에 있는 얇은 판을 덮은 것같이 된다. 가운데맥은 잎의 앞끝에서 약간 돌출한 까락처럼 된다. 삭의 자루 길이는 2-8cm이고 삭은 사각기둥 모양이며 어릴 때는 털이 많은 모(帽)로 싸여 있다. 솔이끼라 할 경우에는 솔이끼과의 식물을 총칭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알려진 솔이끼과는 6속 약 30종인데 어느 것이나 넓게 나온 잎을 가지며 줄기..

왜제비꽃(Viola japonica Langsd.)ㅡ제비꽃과

왜제비꽃 쌍떡잎식물 제비꽃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Viola japonica Langsd. 높이 6~12cm이고 원줄기는 없으며 잎은 모여서 나고 달걀모양, 삼각모양이고 끝이 둔하며 가장자리에 둔한 거치가 있으며 잎자루가 길다. 꽃은 4월에 피며 연한 보라색으로 꽃잎은 둥글고 꽃받침잎은 넓은 바소모양으로 끝이 뾰족하고 가끔 거치가 있다. 꿀주머니는 제비꽃보다 가늘다. 열매는 삭과로 달걀형 타원모양이다. 다년생 초본으로 원산지는 한국이고 한국, 일본 등에 분포하며 산이나 들에서 서식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왜제비꽃 (국립중앙과학관 - 식물정보, 신재성, 유난희, 신현탁, 네이버 포토갤러리)

왕매발톱나무(Berberis amurensis var. latifolia)ㅡ매자나무과

왕매발톱나무 요약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무과의 낙엽관목. 학명 Berberis amurensis var. latifolia 해발고도 100~1,900m의 산지에서 자란다. 높이 약 2m이다. 밑에서 많은 줄기가 올라오며 길이 1~2cm의 예리한 가시가 3개로 갈라져 턱잎과 함께 있다. 2년생 가지는 회색 또는 노란빛을 띤 회색이며 작은 가지에는 홈이 있다. 잎은 새로 난 가지에서는 어긋나지만 짧은 가지에서는 모여나는 것처럼 보인다. 길이 3~8cm로 둥글거나 달걀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바늘 모양의 톱니가 있다. 잎 뒷면은 주름이 많고 연한 녹색이다. 꽃은 4~5월에 노란색으로 피며 짧은 가지 끝에 길이 10cm 정도의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꽃차례는 아래로 반쯤 처지며 10~20송이의 꽃이 달린다...

유자나무(Citrus junos)ㅡ운향과

유자나무 [ 柚子─ ] 요약 쌍떡잎식물 무환자나무목 운향과의 상록관목 학명 Citrus junos 바닷가나 민가부근에서 자란다. 중국 원산이며 남쪽에서 과수로 심는다. 높이 약 4m이다. 가지에 뾰족한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 긴 타원형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잎자루에 날개가 있다. 꽃은 양성화이며 5∼6월에 흰색으로 피는데,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린다.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5개씩이고 수술은 20개가 통처럼 합쳐지거나 5개로 나누어진다. 열매는 장과로서 편구형이며 지름 4∼7cm이고 9∼10월에 익는다. 빛깔은 밝은 노란색이며 겉이 울퉁불퉁하고 향기가 있다. 번식은 종자나 접붙이기 등으로 한다. 관상수로 심으며, 열매는 부드럽고 즙이 많지만 신맛이 강하고 향기가 있으므로 요리에 사..

족도리풀(Asarum sieboldii)ㅡ쥐방울덩굴과

족도리풀 요약 쌍떡잎식물 쥐방울덩굴목 쥐방울덩굴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Asarum sieboldii 산지의 나무그늘에서 자란다. 뿌리줄기는 마디가 많고 옆으로 비스듬히 기며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잎은 보통 2개씩 나오고 긴 자루가 있으며 심장 모양으로 나비 5∼10cm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뒷면 맥 위에 잔털이 있다. 꽃은 4월에 홍자색으로 피고 잎 사이에서 꽃대가 나와서 끝에 1개의 꽃이 옆을 향하여 달린다. 꽃잎·꽃받침은 통처럼 생기고 끝이 3개로 갈라져서 다소 뒤로 젖혀진다. 수술은 12개이고 암술대는 6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8∼9월에 결실하며 장과(漿果)이고 끝에 꽃받침조각이 달려 있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세신(細辛)이라 하여 발한·거담·진통·진해 등의 효능이 있어 두통·소화불량 등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