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태식물 8

솔이끼(Polytrichum communeHedw.)-솔이끼과

선태식물 솔이끼과에 속하는 이끼이다학명  Polytrichum communeHedw. 그늘지고 습한 산지나 늪, 또는 햇빛이 드는 점토질 토양에서 잘 자라는 이끼로서 높이는 3-10cm이며 곧게 선 줄기를 가진다. 잎은 바소꼴이며 길이는 4-9㎜이다. 마르면 완만하게 줄기에 접착하여 전체 형태는 가늘고 길게 보인다. 잎가장자리는 안쪽으로 겹쳐 포갠 것처럼 되며 표면에 있는 얇은 판을 덮은 것같이 된다. 가운데맥은 잎의 앞끝에서 약간 돌출한 까락처럼 된다. 삭의 자루 길이는 2-8cm이고 삭은 사각기둥 모양이며 어릴 때는 털이 많은 모(帽)로 싸여 있다. 솔이끼라 할 경우에는 솔이끼과의 식물을 총칭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알려진 솔이끼과는 6속 약 30종인데 어느 것이나 넓게 나온 잎을 가지며 줄기..

구슬이끼(천마산)(Bartramia pomiformis)ㅡ구슬이끼과

구슬이끼 요약 구슬이끼과의 선태식물. 학명계문분포지역크기 Bartramia pomiformis 식물 이끼류 한국·중국·러시아·일본·유럽·북아메리카·오스트레일리아 높이 1∼3cm 한국·중국·러시아·일본·유럽·북아메리카·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서 자라다. 포자낭이 구슬처럼 둥글고 윤기가 있어 지어진 이름이다. 줄기는 곧거나 비스듬하며, 높이는 1∼3cm이다. 잎은 4∼9mm이며 버들잎모양으로 위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진다. 포자낭은 둥글며 녹색인데 붉은 갈색으로 변하며 윤기가 난다. 숲속에서 주로 자란다. [네이버 지식백과] 구슬이끼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우산이끼(Marchantia polymorpha)ㅡ우산이끼과의 선태식물

우산이끼 [ 雨傘─ ] 요약 우산이끼목 우산이끼과의 선태식물. 학명 Marchantia polymorpha 음습한 땅에서 자란다. 도시의 집 근처나 산지의 응달 등 습기가 있는 곳에 퍼져 있으나, 특히 집 근처의 암모니아 성분이 많은 곳에 많다. 전체적으로 잎처럼 넓은 엽상체와 헛뿌리로 이루어져 있다. 엽상체는 너비 7∼20mm이고 짙은 녹색이며 2개씩 갈라진다. 또한 표면에는 육각형의 구획이 생기고 각 중앙에 작은 구멍이 있다. 구멍은 기공구(氣孔口)이며 4개의 공변세포가 있다. 엽상체의 복면에는 털 같은 헛뿌리가 있으나 수분흡수와는 관계가 없다. 암수딴그루이며 암그루는 찢어진 우산 모양의 배우체를 가지며, 수그루는 뒤집어진 우산 모양의 배우체를 가진다. 암 배우체에 포자낭이 생기며 이 포자낭 속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