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51

맥문동(Liriope platyphylla)-백합과

맥문동[ Broadleaf Liriope , 麥門冬 ]요약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학명  Liriope platyphylla   맥문동이라는 이름은 뿌리의 생김에서 따온 것이다. 뿌리는 한방에서 약재로 사용된다. 그늘진 곳에서도 잘 자라는데 그 때문에 아파트나 빌딩의 그늘진 정원에 많이 심어져 있다. 짧고 굵은 뿌리줄기에서 잎이 모여 나와서 포기를 형성하고, 흔히 뿌리 끝이 커져서 땅콩같이 된다.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 20∼50 cm이다. 잎은 짙은 녹색을 띠고 선형(線形)이며 길이 30∼50 cm, 나비 8∼12 mm이고 밑부분이 잎집처럼 된다.꽃은 5∼8월에 피고 자줏빛이며 수상꽃차례의 마디에 3∼5개씩 달린다. 꽃이삭은 길이 8∼12 cm이며 작은꽃가지에 마디가 있다. 씨방상위이며..

개맥문동(Liriope spicata)-백합과

개맥문동[ ─麥門冬 ]요약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학명  Liriope spicata    좀맥문동이라고도 한다. 산과 들의 나무그늘에서 자란다. 꽃줄기의 높이는 약 40cm이다. 뿌리줄기가 옆으로 길게 벋으면서 번식하고 수염뿌리의 끝이 굵어지기도 한다. 잎은 뿌리줄기에서 빽빽이 나고 줄 모양이며 길이 30∼40cm, 나비 4∼7mm로서 7∼11맥이 있다.5∼7월에 연한 자줏빛 꽃이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피는데, 꽃줄기의 길이는 25∼40cm로서 둔한 능선이 있다. 맥문동에 비해 매우 작다. 화피는 6장으로 길이는 약 4mm이다. 열매는 장과로 검은색으로 익으며 둥근 모양이고 지름 약 7mm이다.나무 그늘에 잔디용으로 심기도 한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신체허약·폐결핵·당뇨병·만성기관지염·젖부..

자주졸각버섯(Laccaria amethystea (Bull.) Murrill 1914)ㅡ졸각버섯속

자주졸각버섯 Basidiomycota 담자균문 > Agaricomycetes 주름버섯강 > Agaricales 주름버섯목 > Hydnangiaceae > Laccaria 졸각버섯속 학명 Laccaria amethystea (Bull.) Murrill 1914 ○ 개요 외생균근 형성 버섯이다. 갓의 지름은 1.5~3cm이고, 둥근 산 모양에서 차차 편평한 모양으로 되지만 가운데는 오목해진다. 표면은 매끄러우나 가늘게 갈라져서 작은 인편상으로 된다. 버섯 전체가 자색을 띠는데, 특히 주름살은 짙은 자주색이다. 마르면 주름살 이외에는 황갈색 또는 연한 회갈색으로 된다. 주름살은 올린주름살이고 두껍고 성기다. 자루의 길이는 3~7cm, 굵기는 0.2~0.5cm이고 섬유상이다. 자주색이고 미세한 세로줄 무늬가 있..

버섯 2024.03.04

먹물버섯(Coprinus comatus (Muller & Fr.) Pers.)ㅡ먹물버섯과

먹물버섯 Shaggy ink cap 분류 균류 > 담자균강 > 주름버섯목 > 먹물버섯과 > 먹물버섯속 학명 Coprinus comatus (Muller & Fr.) Pers. 개요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먹물버섯속에 속하는 버섯. 학명은 'Coprinus comatus (Muller & Fr.) Pers.'이다. 흰 달걀처럼 발생하여 솟아오르다가 갓이 피면서 속의 포자가 액화 현상을 일으켜 검은 먹물 같은 액체를 흘린다. 이 버섯에서 나오는 검은 액체를 서양에서는 잉크로 사용했다고도 한다. 액화 현상 전의 개체는 식용한다. 형태 처음에는 흰색이며 긴 달걀형으로 자라다가 갓이 피면서 검은 색으로 변하며 액화 현상이 일어난다. 갓의 크기는 3~5cm이다. 갓의 표면에도 비늘 모양의 섬유질로 덮여 있다. 버섯의..

버섯 2024.02.28

노랑갈색먹물버섯(Coprinellus radians (Desm.) Vilgalys, Hopple & Jacq. Johnson 2001)ㅡ눈물버섯과

노랑갈색먹물버섯 | 황갈색먹물버섯, 노랑쥐눈물버섯 Basidiomycota 담자균문 > Agaricomycetes 주름버섯강 > Agaricales 주름버섯목 > Psathyrellaceae 눈물버섯과 > Coprinellus 갈색먹물버섯속 학명 Coprinellus radians (Desm.) Vilgalys, Hopple & Jacq. Johnson 2001 ○ 개요 갓은 2~3cm 정도의 소형으로 처음에는 난형이나 갓이 펴지면서 반구형이 되고 결국에는 거의 평평하게 퍼진다. 때때로 가장자리는 안쪽으로 다소 깊은 홈이 파인다. 표면은 갈색을 띤 황색인데 허연색 솜 찌끼 모양~비듬 모양의 탈락성 인편(외피막 잔존물)이 피복되고 가장자리는 방사상의 홈선이 나타난다. 주름살은 처음에는 흰색이지만 흑색이 된..

버섯 2024.02.28

테두리방귀버섯(Geastrum sessile)ㅡ방귀버섯과

테두리방귀버섯 요약 담자균류 방귀버섯과의 버섯이다. 학명 Geastrum sessile 가을에 숲 속의 낙엽 사이의 땅에 무리를 지어 자란다. 자실체는 지름 1.5~4㎝이고 처음에는 공 모양이며 자실체의 부속물 속에 파묻혀 있다. 다 자라면 외피의 위쪽 절반이 5~10조각으로 갈라진다. 각 조각은 위로 뒤집히고 아래로 구부러져 편평한 둥근 방석처럼 되며 그 위에 내피가 있다. 내피층은 밋밋하고 갈라진 줄이 있으며 살구색 또는 붉은 갈색이다. 내피는 지름 1.5~2㎝의 공 모양에 가깝고 흰색 또는 누런 갈색이다. 홀씨는 지름 3~4㎛의 공 모양이고 표면이 연한 누런 갈색이며 작은 사마귀 점과 같은 돌기가 있다. 한국, 북한, 일본, 중국, 유럽, 북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등에 분포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버섯 2023.08.01

아까시흰구멍버섯(Perenniporia fraxinea (Bull.) Ryv.)ㅡ구멍장이버섯과

아까시흰구멍버섯 생물학적분류학명분포 문 : 담자균문 아문 : 주름균아문 강 : 주름균강 목 : 구멍장이버섯목 과 : 구멍장이버섯과 속 : 흰구멍버섯속 Perenniporia fraxinea (Bull.) Ryv. Fomitella fraxinea (Bull.) Imaz. 한국(백두산), 일본, 북반구 온대 이북 형태 : 자실체는 노른자색의 혹모양으로 나무줄기의 밑동에 군생하며 수평으로 균모가 자라나 다수가 겹쳐서 큰 집단을 만든다. 균모는 반원형이거나 편평하고 지름은 5~20cm, 두께는 0.5~1.5cm이다. 표면은 회갈색, 적갈색, 흑갈색이며 가장자리는 황색 동심원상의 고리무늬가 보이기도 하고 매끄럽다. 살은 재목색-황백이다. 자실층인 하면은 황색에서 회백색으로 되며 암갈색의 얼룩이 있다. 관공은 1..

버섯 2023.08.01

소래풀(Orychophragmus violaceus(L.)O.E.Schulz)ㅡ

소래풀 쌍자엽식물 양귀비목 십자화과 소래풀속의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 학명 Orychophragmus violaceus (L.) O.E.Schulz 특징 잎 줄기와 잎은 털이 없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더부룩하게 무더기로 나며, 잎은 깃 모양으로 가장자리는 깊이 갈라져 있다. 꽃 꽃은 봄에 푸른빛을 띤 자주색으로 줄기 끝에 모여 피는데, 꽃 지름은 3cm이고 꽃잎은 네 장이다. 번식방법 가을에 씨를 뿌린다. 유사종 중국에서 부르는 이름은 제갈채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소래풀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