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교정의나무,원예종꽃

봉숭아(고려대학교)20120616

라파엘/표종환 2013. 1. 16. 18:31

 

       

 

             봉숭아  (봉선화과)  Impatiens balsamina

 

       여름에 피는 꽃이 봉황의 모습을 닯아서 "봉선화"라고도 한다

            키는 60cm 정도이며 잎은 피침형으로 어긋나고  잎가장자리에 잔 톱니들이 있다.

            꽃은 7~8워에 잎겨들랑이에  1~3송이씩 모여 피며, 꽃색은 품종에 따라 여러 가지이다.

            꽃잎과 꽃받침잎은 각각 3장으로  꽃받침잎 1장이 길게 꽃 뒤로 자라  거(距)가 된다.

            열매는 삭과로 익는데 만지면 황갈색 씨가 터져 나온다.

 

            인도, 말레시아, 중국 남부가 원산지로 뜰에 널리 심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봉선화를 언제부터 심었는지 정확하지 않으나, 1241년 완성된 (동국이상국집)에

            "7월25일경 오색으로 꽃이 피고 바라람이 불지 않아도 열매가 자라 씨가 터져 나간다는 봉상화(鳳翔花)가

            언급되어 있는 점으로 보아 고려시대 이전부터 봉선화를 널리 심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꽃의 생김새가 마치 봉(鳳)을 닮아  봉선화라 부른다.   조선시대 책에는 봉선화로  되어 있는데.

            이 봉선화가 봉숭아로 발음된 것같다.

            부녀자들이 언제부터 손톱을 물들이는 데 봉선화를 사용햇는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고려 충선왕때

            손톱에 봉선화를 물들인 궁녀에 대한 전설이 있는 것으로 보아 그 이전부터 있었던 것 같다.

            봉선화꽃을 백반과 함께 짓이겨 손톱에 동여맨 후 하루가 지나면 곱게 물든다.